top of page

Ajou Liver Research Lab 
News 

스크린샷 2025-04-15 100027.png

[박선혜 기자]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은정우·정재연·김순선 교수팀이 지난 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대한간암학회 제19차 정기 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연구팀은 간암 환자의 혈청에서 유래한 소형 세포외소포체(sEV)에 포함된 GULP1 단백질이 간세포암종(HCC)의 진행 정도와 예후를 예측하는 데 유의미한 바이오마커임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파태아단백(AFP) 검사만으로는 조기 진단이 어려운 간세포암종 환자들에게 새로운 진단 방법을 제시했다”며 “간암의 조기 발견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image (59).png

한빛사 논문 선정 축하드립니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간연구실에서 수행한 연구 2편이 연달아 **BRIC(생물학연구정보센터, BRIC)**의 ‘한빛사(Hanbitsa)’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1️⃣ [Correspondence]
"Response to Editorial on 'GULP1, a Multifaceted Bio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in HCC'"
해당 연구는 간암 조기진단 및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GULP1 규명에 관한 내용으로, 국제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IF 14.0)에 게재되었습니다.

2️⃣ [Editorial]
"The urgent need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 managing alcohol-associated liver disease: Editorial on 'The prognostic impact of psychiatric intervention on alcohol-associated liver disease: The UK Biobank cohort study'"
이 논평 역시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에 2025년 1월호로 게재되었습니다.

두 편 모두 세계적 수준의 학술지에 게재되어 연구실의 위상을 높였으며, 한빛사 논문으로 선정되어 그 성과를 더욱 빛냈습니다.
🎊 김순선 교수님께 진심으로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

스크린샷 2025-04-07 151426현선상장.png
IMG_7366.jpg

2025년 4월 4일,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된 대한간암학회 학술대회에서
정현선 대학원생이 Oral Poster Presentation 부문 우수구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해당 연구 주제는 간암(HCC)에서의 EV-GULP1의 역할 및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내용으로, 학술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습니다.

정현선 학생의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5.03 

아주대병원 간연구실, 브릭 한빛사 논문 게재

image.png

아주대학교 소화기내과 간연구실에서 수행한 "간암 조기진단 및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GULP1 규명" 연구가 국제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영향력지수 14.0)’에 Correspondence로 게재됨에 따라 'BRIC(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에서 한빛사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5.03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과제 선정🎉

image (38).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과 김순선 교수님께서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중견연구 과제에 선정되시는 영예를 안으셨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 선정은 교수님들께서 그동안 학문적 발전과 연구 혁신을 위해 기울여 오신 탁월한 노력과 학문적 역량이 결실을 맺은 값진 성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교수님들께서 펼쳐 나가실 연구가 학계 발전에 큰 기여를 하기를 기대하며,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다시 한번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25.03 

🎉교수님들의 승진을 축하드립니다 🎉

IMG_6262 (1).jpg

우리 연구실의 교수님들께서 뜻깊은 승진을 맞이하셨습니다! 🎊

  •  정재연 교수님 – 소화기내과학교실 주임교수

  •  김순선 교수님 – 교수

  •  은정우 교수님 – 연구부교수

그동안 학문적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시며 이룩하신 성과들이 이번 승진을 통해 더욱 빛을 발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역할에서도 탁월한 리더십과 연구 역량을 발휘하시며, 앞으로도 큰 발전과 성공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교수님들의 앞날을 응원하겠습니다! 

 2025.02 

아주대 의과대학 졸업식-빛나는 순간, 새로운 출발 !

4E86D5C8-D8E9-4D87-93FA-21B2CC2C5E9A-29018-00000FB9B50B51ED (2).jpg

2025년 2월, 우리 연구실의 대학원 선생님들(지향,지이,민지)께서 소중한 졸업을 맞이하셨습니다.

그동안 연구와 학업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오신 선생님들께 진심 어린 축하를 전합니다

함께했던 시간 속에서 많은 배움을 나누고, 연구실을 더욱 빛나게 해주셨던 선생님들!

이제 새로운 길을 향해 나아가는 만큼, 앞으로의 여정에서도 무한한 가능성과 큰 성공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지금까지 흘린 땀방울이 더 큰 결실로 돌아오기를 바라며,

졸업을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

2242794_276147_1424.jpg

[의학신문 이상만 기자]아주대 의대 소화기내과학교실 은정우 연구교수팀(정재연·김순선 교수)은 고신대 김형석 연구교수, 가톨릭대 윤정환 연구교수와 공동연구로, 간암을 조기에 간편하게 진단할 뿐 아니라 치료 후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물질로 ‘GULP1’을 규명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간암 조기 진단 및 재발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과 함께 기전 규명을 동시에 수행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실제로 임상에 적용해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은정우 연구교수는 “GULP1이 단순한 간암 바이오마커를 넘어, 간암 재발 예측 및 치료 타깃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입증했다”며 “향후 GULP1을 기반으로 한 정밀 진단법 개발,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최근 세계적 학술지 에 ‘GULP1 as a Novel Diagnostic and Predictive Biomarker in Hepatocellular Carcinoma(간세포암에서 조기 진단 및 예측 바이오마커로서의 GULP1)’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2025.02 

아주대병원 간연구실, 브릭 한빛사 논문 게재

한빛사2502.JPG

아주대학교 소화기내과 간연구실에서 수행한 "간암 조기진단 및 재발 예측 바이오마커 GULP1 규명" 연구가 국제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영향력지수 14.0)’에 게재됨에 따라 'BRIC(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에서 한빛사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연구팀은 간암 재발과 연관된 15개 유전자를 도출하였으며, 그중 GULP1이 간암에서 특이적으로 과발현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기존 연구에서 GULP1은 다른 암종에서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알려져 있었지만, 간암에서는 오히려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GULP1이 간암의 원인과 관계없이 모든 간암 환자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며,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GULP1이 β-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간암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하였으며, ARF6(ADP-ribosylation factor 6)을 활성화해 β-catenin이 세포핵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촉진한다는 점을 입증했습니다.

 2025.01 

소화기내과 연구진, BRIC 상위 피인용 논문 선정

스크린샷 2025-01-23 172035.png

아주대학교 소화기내과 연구실에서 수행한 연구가 'BRIC(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에서 상위 피인용 논문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선정된 논문은 "Cancer-associated fibroblast-derived secreted phosphoprotein 1 contributes to resista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to sorafenib and lenvatinib"로, 2023년에 출판되었으며 같은 해 '한빛사(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도 등재된 바 있습니다.

이 논문은 간세포암(HCC)에서 암연관섬유아세포(CAFs) 유래 SPP1(Secreted Phosphoprotein 1)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인 소라페닙 및 렌바티닙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는 기전을 규명한 연구입니다. 연구진은 공공 데이터 분석 및 환자 샘플의 전사체 분석을 통해 CAF 유래 SPP1이 TKI 내성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임을 밝혔으며, SPP1 억제제를 통해 내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in vitro 및 in vivo 실험으로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혈장 내 SPP1 수준이 치료 전 간세포암 환자의 치료 반응 및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연구가 BRIC 상위 피인용 논문으로 선정된 것은 간세포암 치료와 관련된 연구의 학문적 중요성과 연구 성과의 높은 인용도를 인정받은 결과로, 간암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022973_3025646_3019.jpg

[청년의사 곽성순 기자] 아주대병원은 생화학교실과 소화기내과 공동 연구팀(임수빈‧조효정‧은정우 교수, 홍지원 연구원)이 바이러스성·비바이러스성 간암 환자와 비간암 환자의 혈액 샘플을 이용한 다중 오믹스 분석을 통해 유전자 마커를 분석한 결과,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혈액 바이오마커 ‘SH3PXD2B(바이러스성 간암)’와 ‘CD70(비바이러스성 간암)’을 각각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연구팀은 이번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최근 바이오마커 연구에서 각광받고 있는 ‘혈액 버피코트(면역세포, 혈액 내 다양한 세포 포함)’를 간암 연구에 처음으로 활용했다. 또한 간암 환자의 혈장 샘플에서 RNA 수준의 유전자 발현 분석과 단백질 발현 스크리닝을 결합한 다중 오믹스 분석을 시행했음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IF:14)’에 ‘Multiomics profiling of buffy coat and plasma unveils etiology-specific signatur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혈액 버피코트와 혈장 샘플의 다중 오믹스 분석을 통한 간세포암의 병인 특이적 마커 발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2024.09 
한국간재단 학술 연구비 지원과제 사업 선정🎉

image (57).png

우리 연구실의 한지은 교수님께서 대한간학회에서 주관하는 한국간재단 학술연구비 지원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4.07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 선정🎉

image (54).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일반 국민참여자)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4.07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과제 선정🎉

image (53).png

우리 연구실의 김순선 교수님께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주관하는 2024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수출지향형. 함께 달리기)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image.png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순선·은정우 교수팀과 정재연 교수팀이 국제 학술대회 The Liver Week 2024’에서 다수 수상하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김순선·은정우 교수는 순환 세포외 소포체에서 유래한 SF3B4의 간세포암종 조기 진단 마커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Circulating small extracellular vesicle derived splicing factor 3b subunit 4 as a noninvasive diagnostic biomarker of early hepatocellular carcinoma’로 포스터 구연 부분 우수 발표자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알파태아단백 혈액검사로 진단이 어려웠던 간세포암종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4.05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과제 선정🎉

image (52).png

우리 연구실의 은정우 교수님께서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4.04 
대한간학회 기획 과제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지원사업 선정🎉

image (51).png

우리 연구실의 김순선 교수님과 장세하 대학원생께서 대한간학회에서 주관하는 대한간학회 기획과제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지원사업 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과 선생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4.03 
한국보건의료보원 주관 K-CURE 암 임상 라이브러리 연구사례 개발 과제 선정🎉

image (50).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한국보건의료보원 주관 K-CURE 암 임상 라이브러리 연구사례 개발과제 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4.01 
간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신장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과제 선정🎉

image (49).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질병관리청에서 주관하는 간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신장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image.png

[메디컬프라임 주형준 기자]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김순선 교수·은정우 연구교수·원지향 대학원생이 BRIC(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이 주관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됐다. 
연구팀은 간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잠재적인 혈액 바이오마커를 발견한 내용을 국제학술지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영향력지수 11.3)’에 발표했다(논문명: Circulating small extracellular vesicle-derived splicing factor 3b subunit 4 as a non-invasive diagnostic biomarker of early hepatocellular carcinoma).

린인기술이전_edited.png

아주대가 ‘2023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오픈-랩 육성지원사업’ 출범식을 23일 개최했다. 이 사업은 지역 내의 대학과 기업-기관 간 협력을 통해 대학 보유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돕겠다는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율곡관에서 열린 행사에는 이 사업에 참여하는 6개 아주대 연구실(lab)의 연구 책임자들[▲약학과 정이숙 교수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노태훈 교수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은정우 교수 ▲첨단신소재공학과 서형탁 교수 ▲전자공학과 박성준 교수 ▲지능형반도체공학과 오일권 교수]과 참여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의 일환으로 기술이전 협약식도 진행됐다. 우리 학교 ‘오픈-랩 육성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은정우 교수(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가 사업 참여 기업인 ㈜린인바이오에 ‘조기 간암 진단 관련 비번역 RNA 기술’을 이전했다. 이번 기술이전은 총 4억원 규모다. 은정우 교수와 ㈜린인바이오는 앞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 고도화된 간암 진단 키트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mage.png

은정우 교수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아주대병원 인체자원은행에서 분양받은 정상인·만성간염·간경화·간암 병기별 혈장 샘플 등 양질의 인체자원과 임상역학정보, NGS 유전체분석데이터 등을 활용해 간질환을 조기에 진단하는 혈액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등 인체자원을 활용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도출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특히 연구결과는 다수의 논문과 기술이전, 특허 출원뿐 아니라 다양한 후속 연구로 이어지고 있으며, 향후 간암 고위험군 선별 검사와 간암 조기 진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 은정우 교수는 우수 사례 발표자로 초청받아 ‘인체 유전체 및 자원 활용한 간암 진단 마커 연구’를 주제로 발표했으며, ‘2023년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기술・경제적 우수성과’ 및 ‘2023년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30선’에 선정됐다.

 2023.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연구용역 과제 선정🎉

image (48).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연구용역 개발 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간암의 예후을 미리 예측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 WASF2(Wiskott–Aldrich syndrome protein family member 2)가 확인됐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순선 교수팀(은정우 연구교수, 안혜리 대학원생)은 간암 바이오 마커로 사용이 가능한 총 23개 자가항체를 찾았고, 그 중 가장 의미있는 바이오마커로 WASF2 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간암 관련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힌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4월 종양학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지에 ‘Hypomethylation-mediated upregulation of the WASF2 promoter region correlates with poor clinical outcom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WASF2 프로모터 부위의 저메틸화 매개 상향 조절은 간세포암에서 좋지 않은 임상 결과와의 연관성)’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이한희 기자] 간암 치료제인 소라페닙·렌바티닙의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 제시됐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조효정·은정우 교수팀은 간암 치료제인 소라페닙·렌바티닙의 내성을 극복하고,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높이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고 26일 밝혔다.
간암 섬유아세포에서 분비하는 ‘SPP1’이란 물질이 간암세포 표면의 인테그린과 결합해 종양 활성 경로인 RAF/ERK/STAT3 및 PI3K/AKT/mTOR 신호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항암제 내성을 유발시키는 것을 입증했다.

 2023.04 
의료 마이데이터 활용기술 개발 과제 선정🎉

image (47).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의료 마이데이터 활용기술 개발 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박종대 기자 = 아주대병원은 ‘2022년 보건산업진흥 보건의료 기술사업화 유공 포상 시상식’에서 이비인후과 김철호 교수와 소화기내과 정재연 교수가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일 밝혔다.
현재 아주대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장을 맡고 있는 김 교수는 기술사업화 성과창출에 최적화된 연구중심병원 사업을 통해 오픈이노베이션 연구인프라를 구축하고 활용함으로써 보건산업 육성·진흥, 글로벌 기술사업화 촉진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22.09 
중간연구(1-2), 재도약연구 과제 선정🎉

image (56).png

우리 연구실의 김순선 교수님과 은정우 교수님께서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재도약연구 , 중간연구(1-2)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들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우리 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이 개발한 ‘간암 조기 진단 비번역 RNA 바이오마커’ 기술이 관련 기업으로 기술이전됐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환자의 혈액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암을 진단할 수 있어 진단 키트를 비롯한 여러 진단 플랫폼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이전 계약 체결식은 지난 4일 율곡관에서 은정우 교수 연구팀과 최기주 총장, 박해심 의료원장을 비롯한 학교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최기주 아주대 총장과 이동호 ㈜켈스 대표이사가 협약서에 서명하고 이를 교환했다.

 2021.06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활용 서비스 지원사업 , 
기타연구조사사업 과제 동시 선정🎉

image (46).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활용 서비스 지원사업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주관하는 기타연구조사사업 과제에 동시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후생신보】 간암 중 특히 간암 초기에 혈액검사를 통해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순선 교수·은정우 연구교수 연구팀은 간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혈액내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긴 비암호화 RNA 일종인 ‘LINC00853)’란 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즉 혈액 내 ‘LINC00853’ 확인을 통해 간암을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특히 ‘LINC00853’은 간암 1기 진단에 민감도 93.8%, 특이도 89.8%를 보였고, 기존의 간종양표지자(알파태아단백)가 아직 상승되어 있지 않은 1기 간암에서는 양성률 97%를 보였다. 이는 기존 간암의 바이오마커인 ‘알파태아단백’의 민감도 9.4%, 특이도 72.7% 보다 훨씬 높은 수치로 간암의 조기 진단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크게 주목된다.

 2021.05 
Ai정밀의료솔루션(닥터앤서20)개발 과제 선정🎉

image (45).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보건산업진흥원 연구중심병원 육성 R&D사업 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21.04 
Ai정밀의료솔루션(닥터앤서20)개발 과제 선정🎉

image (44).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Ai정밀의료솔루션(닥터앤서20)개발 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중증 알코올성 간염을 장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변화를 통해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재연 교수팀(김순선 교수·은정우 연구조교수)은 2016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 6개 대학병원(아주대병원·고대안암병원·성빈센트병원·인천성모병원·부천성모병원·부천순천향병원)에서 모집한 중증 알코올성 간염 환자 24명과 정상군 24명의 대변 미생물 및 미생물 유래 세포외 입자를 분석했다.
국외에서 알코올 혹은 알코올성 간질환과 연관된 장내 미생물의 변화가 보고된 바 있지만,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정재연 교수는 ”장내 미생물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종 질환에서 식습관 조절이나 약물 혹은 다른 사람의 마이크로바이옴(인체에 사는 세균, 바이러스 등 각종 미생물)을 이식하는 방법을 통해 장내 미생물을 변화시켜 치료에 이용하려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중증 알코올성 간염 환자에서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향후 이러한 미생물의 불균형을 이용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0.12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타연구조사서비스 과제 선정🎉

image (43).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기타연구조사서비스 과제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의학신문·일간보사=이상만 기자]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재연 교수와 호흡기내과 이규성 교수가 제13회 암 예방의 날 기념, 국가암관리사업 유공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정재연 교수는 간암 환자 진단 및 치료법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암 예후를 예측하는 새로운 진단법을 개발하여 특허 등록을 하는 등 암 진단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또 현재 국책사업의 일환인 암 환자 빅데이터 구축을 주도하는 등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수상했다.

 2020.08 

보건의료 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 선정🎉

image (42).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19.10 

빅데이터 센터 5개 분야 구축 사업 과제 선정🎉

image (41).png

우리 연구실의 정재연 교수님께서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 센터 5개 분야 구축사업(헬스케어)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19.02 

신진연구지원사업 과제 선정🎉

image (40).png

우리 연구실의 김순선교수님, 은정우 교수님께서 한국연구재단의 신진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들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2018.04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과제 선정🎉

image (39).png

우리 연구실의 김순선 교수님께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에 선정되셨습니다. 이는 교수님께서 지속적으로 연구에 매진하시며 쌓아오신 학문적 성취와 연구 역량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과제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시기를 기대합니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교수님들의 연구 여정을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 연구 과제 선정의 쾌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재연·임선교·조효정 교수의 연구과제가 한국연구재단 2017년도 이공학 개인 기초연구 지원사업 신규과제에 동시에 선정되어 향후 3년간 각각 1억 5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이공학 개인 기초연구 지원사업은 한국연구재단이 이공학 분야 연구자의 기초연구를 폭넓게 지원하여 국가 연구 기반을 확대하고 연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이다.
정재연 교수는 '간암 환자에서 종양면역반응에 미치는 장내 미생물무리의 영향 규명 및 면역마커 발굴' 연구를 진행한다.
조효정 교수의 연구과제는 '간암에서 암 관련 섬유아세포와 암세포 사이 엑소좀을 통한 상호작용 규명과 치료 타겟물질 발굴'이다. 조 교수는 연구를 통해 암 진행과 항암제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암 관련 섬유아세포(cancer associated fibroblast; CAF)에서 간암을 촉진하는 인자를 규명해 간암 신규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정재연 교수는 이번 연구과제 동시 선정에 대해 "간 질환과 위장관 질환을 전공하는 소화기내과 교수들이 장내 미생물 분석을 통해 간암·위암 환자의 면역반응과 종양미세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소화기 암 연구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7.04 

조효정·정재연 교수팀 유럽 소화기학회 우수포스터 선정

소화기내과 조효정·정재연 교수팀의 연구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7년 유럽 소화기학회에서 우수포스터에 선정되었다.
수상한 포스터의 제목은 ‘한국인 간암등록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바르셀로나 간암 병기 설정 시스템 개선안 제안’이다. 연구팀은 대한간암학회의 간암 등록 자료를 통해 바르셀로나 간암 병기 설정 시스템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했으며 7,501명의 간암 등록 자료에서 병기설정 시스템 개선안의 유효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국내 간암 환자의 실정에 맞는 병기 설정과 치료 가이드라인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주의대 황진순(소아청소년과), 정재연(소화기내과) 교수가 보건복지부의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 인간유전체 임상이행연구와 중개이행연구 분야에서 정부 지원을 받게 됐다.
중개이행연구 분야에 선정된 정재연 교수팀은 '진행성 간암 환자에서 액체 생체검사를 이용한 간외 전이 예측법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 진행성 간암 환자의 임상정보와 유전정보를 연계해 간암 진행 관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해 환자별 유전체 특성에 따른 맞춤치료를 임상에 적용하는 것이 목표다.
두 팀은 향후 3년간 각각 5억 5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2016.07 

정재연·김순선 교수, 대한간학회-한국간재단 학술연구비 지원과제 선정

소화기내과 정재연 교수팀(공동연구자: 김순선 교수)이 2016년도 대한간학회-한국간재단 학술연구비 지원과제에 선정됐다. 정 교수팀은 ‘중증 알코올성 간염환자에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법으로 장내 미생물무리에 미치는 리팍시민의 효과 분석’을 주제로 아주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으로 구성된 다기관 코호트에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 연구로 정 교수팀은 향후 2년간 4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2016. 06  

2016학년도 임상-기초 중개협동 연구과제 선정식 열려

아주대학교의료원은 7월 1일 별관5층 소회의실에서 ‘2016학년도 임상-기초 중개협동 연구과제 선정식’을 개최했다. 연구과제 공모는 의료원 내 임상의학과 기초의학 간 협동 연구를 장려하고 연구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2013학년도부터 진행한 것으로, 올해에는 심사 결과 4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4개 연구과제는 △단백질칩을 이용한 간암의 조기진단 및 치료반응 예측 자가항체 발굴(소화기내과학교실 김순선 교수, 생리학교실 강호철 교수) △간암환자의 암진단패널 개발을 위한 cell-free nucleic acid 정밀의학 마커 발굴(소화기내과학교실 정재연 교수, 생리학교실 우현구 교수) △Angiotensin II 유도 고혈압 완화 제어관련 Sirtuin-HDAC6-CSE 신호체계 규명(마취통증의학교실 김재형 교수, 만성염증질환연구센터 이상윤 교수) △광역학 치료가 유도하는 미백효과에서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피부과학교실 김유찬 교수,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이다. 아주대학교의료원은 2016년 7월 1일부터 1년 동안 4개 연구팀에 각각 5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bottom of page